티스토리 뷰

반응형

KoPub 돋음체와 바탕체는 전자책과 종이책 모두에서 최적의 가독성을 제공하는 서체로, 무료로 사용할 수 있어서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있습니다. 이 두 서체의 차이를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KoPub 서체 돋움체와 바탕체 그리고 차이점과 장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KoPub 돋움체, 바탕체 무료서체

 

 

KoPub 서체란?

KoPub 서체는 한국출판인회의에서 개발한 무료 서체로, 전자출판과 종이출판 모두에 적합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서체는 한글을 중심으로 설계되었으며, 일본어와 라틴 문자, 키릴 문자까지 지원하여 다양한 언어 환경에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특히, 전자책을 읽을 때 가독성이 뛰어나 많은 작가와 출판사에서 선호하고 있습니다.

 

KoPub 서체
KoPub 일본어
KoPub 히브리어

 

 

 

돋움체

KoPub돋움체는 산세리프(Sans Serif) 계열의 글꼴로, 일반적으로 글자의 끝부분이 둥글거나 뾰족하지 않은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형태는 시각적으로 보다 깔끔하고 현대적인 느낌을 줍니다. 돋움체는 특히 광고, 포스터, 웹사이트 등에서 많이 사용되며, 가독성이 뛰어나고 활동적이고 경쾌한 느낌을 줍니다. 독자에게 신선한 이미지를 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KoPub 돋움체 무료 받기

 

 

 

 

 

 

 

 

 

 

바탕체

KoPub 바탕체는 명조체 계열의 글꼴로, 글자의 끝부분이 셰리프(Serif)로 처리되어 있습니다. 바탕체는 전통적인 느낌을 주며, 보통 인쇄물이나 보고서, 책 등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이러한 서체는 가독성이 높고 안정감을 주어 독자가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따라서 중요한 문서나 공식적인 자료를 작성할 때 바탕체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KoPub 바탕체 무료 받기

 

 

 

돋움체와 바탕체의 차이

돋움체는 산세리프(Sans Serif) 계열로, 글자의 끝에 장식이 없는 형태입니다. 이로 인해 깔끔하고 현대적인 느낌을 주며, 주로 제목이나 강조하고 싶은 부분에 사용됩니다. 반면, 바탕체는 세리프(Serif) 계열로, 글자의 끝에 장식이 있는 형태입니다. 이로 인해 전통적이고 안정적인 느낌을 주며, 본문 텍스트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두 서체의 선택은 사용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KoPub 돋움체와 바탕체의 차이

 

 

 

KoPub 서체의 장점

KoPub 서체의 가장 큰 장점은 라이센스 걱정 없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저작권 문제로부터 자유로워 다양한 프로젝트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KoPub 서체는 다양한 굵기와 스타일로 제공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적절한 선택이 가능합니다. 디지털 및 인쇄 매체에서 모두 활용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한 서체입니다.

 

 

KoPub 돋움체는 시각적인 효과를 중시하는 광고, 포스터, 브로셔 등의 디자인에 적합하며, KoPub 바탕체는 문서 작성, 보고서, 학술 논문 등의 공식적인 자료에 적합합니다. 상황에 따라 적절한 서체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KoPub 서체는 그 자체로도 훌륭하지만, 디자인의 목적에 맞게 적절히 활용한다면 더욱 빛을 발할 것입니다. 바탕체와 돋움체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상황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해보세요. 여러분의 디자인이 한층 더 돋보일 것입니다.

 

 

 

 

글꼴, 폰트, 서체 관리 프로그램

 

 

 

 

 

반응형

'소스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료서체 / Noto Sans(노트산스체)  (2) 2025.05.04
무료서체 / KBIZ한마음 고딕체, 명조체  (2) 2025.05.03
무료서체 / LINE Seed  (0) 2025.04.22
무료서체 / 리아체  (2) 2025.03.25
무료서체 / 비앤빛라식체  (0) 2025.03.24
반응형